의왕시의회 의원 박현호

의왕에서, 시의원을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정보 모음/의왕 현안 10

의왕ICD 제2터미널, 결국 존치인가

시작하며저는 2023년 1월, 의왕ICD 통합 계획을 처음 접하고 그때부터 이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이후 한동안 진전된 이야기를 들을 수 없었습니다. 이 문제는 반드시 직접 확인해 보아야겠다고 판단하여, 2025년 4월 7일, 코레일 본사를 찾아 관계자와 면담을 진행했습니다. 그동안 제가 알고 있고, 고민해온 결과들을 공유드립니다.  1. 처음에는 철수였다 – 2023년 1월 까지는의왕ICD 제2터미널은 원래 철수 대상이었습니다. 제가 2023년 1월, “의왕ICD 시설재배치 중간보고회”에 갔을 때만 하더라도 그랬습니다. 당시 국토부는 의왕ICD를 제1터미널로 통합하고, 제2터미널은 완전히 재구조화할 계획이었습니다. 의왕시가 다시 얻지 못할 기회이기에, 저는 당시부터 이 사안을 주의깊..

정치적 인맥을 통한 의왕시의 갑작스런 국제교류, 그리고 수의계약

2024년 12월 20일 저는 김성제 의왕시장에게 시정질문을 하였습니다. 시정질의를 하게된 과정부터 결과까지, 더 알아봐야할 점까지 적어봅니다.  시작 - 필리핀 위험지역에 있는 시와 갑작스러운 교류를?2024년 12월 2일 , 바로 다음날인 12월 3일 필리핀 민다나오 섬에 있는 방사모로 자치구의 코타바토 시(Cotabato City)에서 의왕시에 방문한다는 소식을 듣게되었습니다. 방문은 직전 주말(11월 30일~ 12월 1일경)에 시장이 국제교류 담당자에게 지시하여 준비되었다고 합니다. 제가 알기로 민다나오라면 정세가 불안한 지역이라 한국인들은 커녕 필리핀 현지인들도 위험하다고 여기는 곳인데 갑자기 내일 의왕시랑 교류를 한다니, 다음과 같은 의문이 들었습니다. 1. 왜 갑자기 교류 일정이 잡혔는가?2..

의왕시장님 가족의 수상한 부동산개발 - 탕정에서 생긴 일

https://youtu.be/-p-WGk-A1DE - YouTubewww.youtube.com 들어가며김성제 의왕시장의 배우자가 탕정에서 부동산 사업을 한다는 소문이 있었다. 삼성스마트시티라는 회사를 운영한다는 소문. 사실이었다. 2024년 관련 법인의 감사보고서(재무제표 등)가 공시되며,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나는 2024년 6월 25일 의왕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시정질의를 했다. "그 정보를 어디서 찾았냐, 어디서 받았냐" 시정질의 당시 김성제 시장의 발언이다. 당연히 공시정보들인데, 찾을 수 있다. 어떻게 찾았는지 하나하나 알아보자. Step 1. 구글 검색을 생활화 합시다 처음 알고있던 정보는 법인명 "삼성스마트시티", 개발 지역은 "탕정".' 구글에 "삼성스마트시티 탕정"을 검..

백운PFV 2023회계연도 재무제표, 그리고 문제점들

2024년 4월 2일, 의왕백운프로젝트금융투자주식회사(이하 "백운PFV")의 감사보고서(재무제표 포함)이 공개되었습니다. 약 190억 원의 자본잠식이 일어났고, 기말 현금(2023. 12. 31. 기준 보유 현금)은 약 70억 원으로 심각합니다. 1. 190억 자본 잠식 2023년 3월 31일, 2022년에 발생한 이익 대부분을 배당하였습니다.(약 50만 원만 남기고 전액 배당) 그러나 2023년 결산 결과, 약 266억(26,563,451,642 원)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하였습니다. 결국 감사보고서를 작성한 회계법인은 재무제표 주석에 기업의 "존속능력에 유의적 의문"을 불러 일으킨다고까지 이례적으로 강한 표현을 사용하였습니다. 총 부채가 총 자산을 약 190억 원 초과하는 상태, 곧 완전 자본잠식 상태가..

경기도 노후공업지역 진단과 과제(2017)

의왕시 등록공장수 440, 종사자수 8197 국토해양부 도시계획통계(2015) 최신 통계로 update 요망 LQ 1위업종 - 화학제품(3.58), 2위 의료, 정밀기기(2.84) 고차 서비스업 발전 미흡 수준 정보통신서비스, 소프트웨어, 영상 및 콘텐츠, 연구개발업, 전문과학서비스업 의왕시 고차서비스업 고용비중 10%(2015년). 종사자수 5927 노후산업단지 재생 및 구조고도화사업 지정 받아야함. 노후 공업지역에 대한 관리주체가 없어 관련 정책수립을 위한 최소한의 통계조차 미확보 → 발전방안 마련 곤란 지자체 공무원 1~2명이 전체를 관리하고 있으나 예산 및 전문성 미흡 법적으로 지자체가 지니고 있음. 진입도로, 내부도로, 주차장, 환경시설 등등 갖추게 해야함. 구조전환에 성공한 사례는 역세권 등 ..

반응형